[태그:] 폭발

  •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 공사장 폭발로 303명 사상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 공사장 폭발로 303명 사상

    1995. 4. 28. | 대구 상인동

    사망 101명, 부상 202명
    이재민 555명
    건물 80여동, 차량 150여대
    등 피해액 약 540억 원

    지하시설 관계기관 협의
    없이 굴착하다가 가스배관
    파괴, 인근 공사장에 착화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현장
    • 사고 시간은 아침 러시아워 시간이었다.
    • 사고 장소에는 대구백화점 상인점 건설을 위해 터파기가 진행중이었다.
    • 옆 건물로부터 지반이 약화되고 있다고 항의를 받아 지반을 강화하기 위해 그라우팅 및 보링 작업을 하게 된다.
    • 굴착 작업을 하려면 먼저 굴착 허가를 받고 도시가스 등 지하 매설물의 도면 등을 보고 안전성을 확보해야 했지만, 그런 것 없이 진행했다.
    • 천공기로 75mm 구멍 31개를 굴착하다가 도시가스 배관을 잘못 건드려 배관에 구멍이 뚫렸다.
    • 뚫린 배관에서 고압가스가 세어나왔고, 현장소장은 대구도시가에 가스 누출 신고를 했다.
    • 하지만 가스관에서 새어나온 가스는 인근에 매설된 파손된 우수관을 통해 100m 정도 떨어진 인근 지하철 상인역 공사장으로 이동했다.
    • 상인역 공사장에서는 용접작업도 병행하고 있었다.
    • 상인역 공사장으로 이동된 가스는 용접 불씨에 착화되어 대폭발을 일으켰다.
    • 폭발 순간 50m의 불기둥이 솓아올랐고, 400m에 달하는 복공판(공사시, 도로에 까는 철판), 공사 자재, 차량, 행인 등이 3~4층 높이로 튀어 올랐다가 떨어졌다.
    • 이 폭발 사고로 사망 101명, 부상 202명 등 총 300여 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차량 150대 이상, 건물 80여 채가 파손되는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다. 
    • 특히 사건 현장이 영남중학교 근처이고, 등교시간이라서 안타깝게도 이 학교 학생이 전체 사망자의 절반 가량 되었다.
    • 인근을 지나가던 버스에 100명 가량 탑승했지만, 다행히 이 버스에 사망자는 없었다.
    • 시공사측 인부 및 회사관계자 9명은 업무치사상 등의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다.
    • 지하 매설물이 관리가 잘 안 되고, 무질서하게 매립되어있었던바, GIS가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 당시에는 긴급속보 방송은 국가부처인 공보처에 먼저 허락을 받고 하게 되었는데, 이 사고와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를 계기로 ‘국민의 알 권리’가 우선시 되어 방송사가 뉴스속보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다.
    • 안전불감증, 더 구체적으로는 안전에 대한 법적 미비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 그렇게 탄생한 것이 지하안전평가와 지하굴착행위 신고 등이므로 최소한 안전에 관한 법적 절차나 기준은 확실히 지켜야 한다.
  •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서울 도시가스 폭발로 113명 사상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 서울 도시가스 폭발로 113명 사상

    1994. 12. 7. | 서울 마포구

    사망 12명, 부상 101명
    이재민 555명
    건물 145동 차량손실 92대 등

    가스공급기지에서
    가스누출 후 모닥불에 착화

    아현동 가스폭발 사고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현장
    • 사고장소에는 한국가스공사의 도시가스 공급기지가 있었다.
    • 가스공급기지는 주택 및 상가 밀집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었고, 가스·전기·전화선 등이 무질서하게 매설되어 있었다.
    • 별도로 도시가스임을 나타내는 표지 및 안내판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 사고발생 당시에는 현장 공사중이었고, 겨울이었고, 모닥불이 피워져 있었다.
    • 가스공급기지에서 가스가 누출되어 공사장의 모닥불에 착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 도시가스배관이 폭발하면서 폭발음과 함께 불기둥이 50m 이상 치솟았다.
    • 불은 순식간에 인근 건물로 옮아붙어 주변 50m내의 가옥 150 여 채가 전소되거나 파손되었으며, 차량 17대가 전소되었다.
    • 반경 300m 내 빌딩의 유리창 1백여 장이 폭발에 따른 충격으로 깨졌다.
    • 불길은 누출 된 가스를 따라 빠르게 확산되어 마포로 건너편까지 번졌으며 아현동 및 공덕동, 만리동, 충정로, 노고산동 일대가 검은 연기와 유독가스로 뒤덮였다.
    • 한겨울에 3일간 일대의 가스공급과 전기공급이 차단되어 시민들이 추위에 떨었다.
    • 당시에는 긴급속보 방송은 국가부처인 공보처에 먼저 허락을 받고 하게 되었는데, 이 사고와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를 계기로 ‘국민의 알 권리’가 우선시 되어 방송사가 뉴스속보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다.
    • 가스공사는 가스공급기지를 주택이나 상가 밀집지역이 아닌 안전지대로 이전하였고, 가스관리요원을 추가로 충원하였다.
    • 배관 15km마다 배관안전점검원 1인씩 배치하고, 중압가스관은 지하 2~3m, 저압가스관은 지하 50㎝ 이상으로 매설하게 하는 등 관련 규정이 강화 되었다.
    • 가스공사업자는 배관시공감리, 가스안전영향평가, 안전성향상계획 심사 등 새로운 의무사항이 생겼다.
    • 지하 매설물이 관리가 잘 안 되고, 무질서하게 매립되어있었던바, GIS가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 위험시설은 관리자 스스로 점검하고 평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당연히 착화원을 가까이 두면 안 되며,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위험시설은 주거, 상업시설이 되도록 없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 가스요금 단가를 무조건 내리는 것보다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수도 있는 사안인 만큼 안전설비나 규제에 비용이 다소 들더라도 안전 설비 확충이 필요하다. 소외계층에 대한 에너지 지원은 가스 요금을 무작정 낮춰서 하기보다, 가스공급업체의 운영에 무리없는 선을 지키면서 다른 방법으로 지원해야 한다.
  • 이리역 폭발 사고 , 다이너마이트 대폭발로 1,402명 사상

    이리역 폭발 사고 , 다이너마이트 대폭발로 1,402명 사상

    1977. 11. 11. | 이리역(現익산역)

    사망 59명, 부상 1,343명,
    이재민 7,800여 명,
    가옥 6,800여 채 등
    재산피해 61억 원

    철도 공무원 뇌물 관행,
    화약 호송원 부주의

    이리역 사고, 이리역 폭발 사건

    이리역 폭발 사고 현장 구덩이가 크고 깊게 파인 리리역
    • 인천을 출발해 광주로 가던 한국화약(現한화)의 화물 열차가 다이너마이트와 전기 뇌관 등 폭발물 40톤을 싣고 이리역에서 정차했다.
    • 하지만 당시 철도 공무원 사이에서는 ‘급행’이라는 명목으로 뇌물이 횡행했다.
    • 돈을 주지 않으면 열차를 제 시간에 통과시켜 주지 않았다.
    • 이에 따라 화약 호송원은 정차 시간동안 술을 마시고 무단으로 다이너마이트가 실린 화물차 안에 들어가서 촛불을 켜두고 잠이 들었다.
    • 잠에서 깨어보니 불이 화약에 옮겨 붙고 있었다.
    • 당시 다이너마이트 상자, 뇌관상자 등 화약물 30톤이 실려 있었다. 
    • 깜짝 놀란 호송원은 진화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소화기 같은 소화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 다른 직원들도 눈치를 챘지만 일부는 도망가고 일부가 남아서 진화를 시도했으나 역시 실패했다.
    • 결국 열차로 불이 옮겨 붙으면서, 다이너마이트 등이 반응하여 대폭발을 일으켰다.
    • 이리역사를 중심으로 지름 30m, 깊이 15m에 이르는 거대한 구덩이가 파였고, 반경 500m 이내의 건물이 대부분 파괴되었다.
    • 기관차 본체는 폭심지로부터 700m 떨어진 민가까지 날아가버렸고 일부 파편은 직선거리가 7km나 되는 춘포면까지 날아갔다고 한다.
    • 폭파 직후 기절했던 역무원이 정신을 차리고 들어 오려고 하는 다른 열차에 웃옷으로 신호를 보내 멈추었다.
    • 이리역에 정차 중이던 유조화차 기관사가 연락을 받고 뛰어 나와 인근 역으로 열차를 옮겼다.
    • 한국화약그룹 회장은 즉시 대국민 사과를 하고 전재산 90억 원을 모두 구호활동에 썼다.
    • 도주하던 호송원은 붙잡혀 ‘부작위에 의한 폭발물파열죄’로 징역 10년을 받고 만기출소 했다.
    • 진입하려던 열차를 멈춘 역무원은 후에 철도안전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 정부는 ‘새 이리 건설 계획’을 발표하여 이리시에 재정을 지원했다.
    • 수습과정에서 미담사례가 많았다. 자세한 것은 나무위키 참조.
    • 당시 국민가수이던 화춘화 공연 진행 도중 폭발이 일어났는데, 무명 MC가 화춘화를 구해서 화제가 되었다. 그 MC가 이주일이다.
    • 폭발 후 이리역 주변에서 어린이들 사이에 ‘목걸이 줍기’가 유행했다.
    • ‘이리’라는 지명이 사라지게 된 큰 계기가 되었다.
    • 이리역이 사라지고, 익산역으로 옮기게 되었다.
    • 안전 법규는 꼭 준수해야 한다. 법은 국회의원이 통과시키지만, 법 조문 1줄에 녹아 있는 것은 실무자들 고민의 결정체이다.
    • 재난을 예방하는 게 최우선이지만, 이미 발생했을 때는 자잘못을 따지기 전에 대응체제로 신속히 넘어가야 한다.